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불황···힘겨운 한인 대형마켓 '돈도 물건도 마른다'

한인 대형마켓들이 위기에 빠졌다. LA한인타운에 위치한 시티마켓은 오픈한 지 8개월 만에 경영난을 견디다 못해 지난 주말 임시로 영업을 중단했다. 지난해 9월 개장한 도레미마켓도 영업 5개월 만인 지난 2월 LA점을 닫고 2개월 후 롤랜드하이츠점까지 폐업했다. 가주파머스마켓은 세리토스점을 매각한 뒤 재정비를 이유로 가든그로브점을 임시 폐쇄했지만 3달이 넘도록 영업 재개의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이외에도 가든그로브 가든 프레시가 올해 초 문을 닫았고 지난해 말 가디나 삼경마트도 폐업했다. ◇확장경영이 문제= 마켓들이 위기에 몰린 가장 큰 이유는 물론 경기침체에 있다. 하지만 무리한 확장과 과열 경쟁도 주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2007년 상반기 남가주 한인 대형마켓 업게에서는 12개 업체가 25개 매장을 운영했었다. 이후 H마트 리틀도쿄 마켓플레이스 시티마켓 우리마켓 등 신규 업체가 생겨나고 기존 마켓들도 지점을 불리면서 올해 상반기 18개 업체 34개 매장으로 늘어나며 최고점을 찍었다. 불과 2년 사이 무려 6개 업체 9개 매장이 생긴 것이다. 관계자들은 "경기가 좋았다면야 마켓이 10개 20개 돼도 어느 정도 운영이 됐을 것"이라며 "하지만 시장 규모와 고객 수에 비해 마켓이 너무 많이 생기면서 출혈 경쟁으로 치닫았다"고 말했다. 마켓 업계에서는 LA한인타운을 제외하고 각 지역 상권에 마켓 1~2개가 적정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최근 1~2년 사이 우후죽순으로 늘어 한 지역에 마켓 3~5개가 됐다. 문제는 시장 규모. 이들 마켓이 모두 살아남기에는 남가주 한인 시장 규모가 따라가지 못했다. 한정된 시장에서 한정된 고객을 놓고 싸우면서 가격 덤핑과 출혈 세일로 제살 깎아먹기 식의 운영이라는 부작용을 낳았다는 지적이다. 여기에 초대형 경기침체라는 폭탄이 떨어져 사업 확장에 열을 올리던 마켓들이 치명타를 입고 있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불경기가 장기화되면 문을 닫는 마켓이 더 생겨날 것"이라며 "올해 또는 내년까지 업계가 정리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매각도 힘들어= 매출 부진으로 마켓은 벤더들에게 물건값을 지불하지 못하고 있다. 대금 결제가 미뤄지면서 물건 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 마켓은 물건을 받지 못해 진열대를 채우지 못하고 있다. 마켓에 돈이 마르고 물건이 마르고 있는 것이다. 또는 과연 남을까 싶을 만큼 파격적인 세일을 실시하는 마켓도 있다. 매출 부진으로 현금순환에 문제가 생겼기 때문이다. 물건을 받기 위해서는 자금을 확보해야겠기에 일단 물건을 순환시켜 급한 불을 끄고자 세일을 하는 것이다. 경기침체로 매출이 감소하면서 마켓 운영이 힘에 부치는 상황이다. 운영 정상화를 위해서는 매출을 올려야 한다. 또 매출을 올리려면 팔 물건이 필요하고 물건을 사려면 돈이 필요한데 매출 부진으로 자금난에 빠진 것이다. 이같은 악순환이 계속되며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 부딪힌 것이다. 운영을 힘겹게 이어가고 있는 마켓에 주어진 방법은 매장을 파는 것이다. 현재 매물로 나온 마켓 또는 지점이 여럿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관계자들은 "셀러와 바이어 사이에 기대가격 차이가 커 거래가 성사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실제 최근 거래가 성사된 경우는 가주마켓 세리토스점을 우리마켓에 매각한 정도다. 팔지 못하면 닫을 수 밖에 없다. 가든프레시가 그랬다. 도레미마켓도 LA점을 매각해 본점인 롤랜드하이츠점의 운영 정상화를 꾀했으나 매각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결국 2개 지점 모두를 닫았다. 이재희 기자 jhlee@koreadaily.com

2009-08-09

시티마켓 8일부터 영업중단···임시로, 폐업여부는 결정안돼

시티마켓이 임시로 영업을 중단한다. 지난 5일부터 50% 세일 행사를 실시한 시티마켓은 행사 3일 만에 매장에 있던 물건을 모두 정리하고 오늘(8일)부터 임시로 영업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시티마켓 경영진의 한 관계자는 7일 “고객이 와도 구입할 물건이 없어 마켓을 오픈해놓는 게 의미가 없다고 판단, 임시 영업중단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결정권을 갖은) 시티마켓 이사회가 소집되지 않아 시티마켓이 폐업될 지 아니면 다른 마켓이 들어올 지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LA한인타운 내 8번째 마켓으로 지난 1월15일 그랜드 오픈한 시티마켓은 윌셔-6가 마켓 시대를 여는 첫 주자로 관심과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불경기와 과열경쟁, 자금 및 경험 부족 등의 악재가 겹치며 개장 8개월 만에 결국 임시 영업 중단이라는 운명을 맞게 됐다. ■무엇이 문제였나? 내부분쟁…운영진 잦은 교체 자금난으로 물건도 못 채워 영업 중단에 들어간 시티마켓은 처음부터 문제를 안고 시작했다. 시티마켓의 첫 단추는 운영권을 놓고 벌인 소송으로 잘못 끼워졌다. 지난해 하반기 시끄러웠던 소송은 정리됐지만 소송 결과에 따라 운영진이 바뀌면서 매장 공사 등에도 차질을 빚었다. 내분으로 갈등을 빚었던 시티마켓은 이로 인해 개장이 지연됐던 시티센터 온 식스가 그랜드 오픈(2008년 9월)하고도 3개월이 지난 후에야 마켓을 오픈(2008년 12월)할 수 있었다. 마켓 운영진의 잦은 교체는 문제를 키웠다. 1대 황규만 시온마켓 대표 2대 조슈아 고 CEO를 거쳐 현재는 김성보 부사장이 경영을 맡고 있다. 대표가 바뀔 때마다 매니저 등 다른 직원도 이동했고 거래처와의 관계에 금이 가고 거래선이 교체되는 등 운영이 매끄럽게 이뤄지지 않았다. 특히 황규만 시온마켓 대표가 물러난 2월 이후 매출이 급격히 떨어지기 시작하면서 시티마켓은 몰락의 길에 접어들었다. 매출 부진은 자금난으로 이어졌고 식품 업체 등에 대한 대금 결제가 미뤄지자 벤더들이 선불 결제가 돼야 물건을 공급하거나 아예 거래를 끊고 물건 공급을 중단했다. 판매할 물건이 없으니 고객이 들지 않았고 매출은 더 떨어졌다. 악순환의 고리에 빠진 것이다. 결국 벤더 대금 결제 지연 뿐만 아니라 렌트비가 밀리고 직원들에게도 임금을 지불하지 못하는 상태에 이르렀다. 경영난을 견디지 못하고 '파느냐 닫느냐'의 기로에 선 시티마켓은 타개책으로 다른 기존 마켓들에 매각을 타진했으나 불발됐다. 현재 시티마켓은 투자자 및 주주들로 구성된 이사회의 결정에 따라 '죽느냐 사느냐'로 운명이 갈리는 상황에 놓여있다. 기존 주주들이 추가 투자하게 되거나 새로 나타난 투자자가 투자 여부를 결정하면 살아날 수 있다. 하지만 그렇지 못하면 회생할 수 없다. 동시에 렌트비가 밀린 시티마켓을 대신 할 다른 테넌트를 찾고 있는 시티센터와도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재희 기자

2009-08-0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